🙌문제설명 두 정수 X, Y의 임의의 자리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정수 k(0 ≤ k ≤ 9)들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수를 두 수의 짝꿍이라 합니다(단, 공통으로 나타나는 정수 중 서로 짝지을 수 있는 숫자만 사용합니다). X, Y의 짝꿍이 존재하지 않으면, 짝꿍은 -1입니다. X, Y의 짝꿍이 0으로만 구성되어 있다면, 짝꿍은 0입니다. 예를 들어, X = 3403이고 Y = 13203이라면, X와 Y의 짝꿍은 X와 Y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3, 0, 3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수인 330입니다. 다른 예시로 X = 5525이고 Y = 1255이면 X와 Y의 짝꿍은 X와 Y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2, 5, 5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수인 552입니다(X에는 5가 3개, Y에는 5가..
String.prototype.split() String 객체를 지정한 구분자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문자열로 나누어 배열에 저장한다. const str = 'Merry Chirstmas' const chars = str.split(''); console.log(chars[8]); //i const chars = str.split(' '); console.log(chars[2]); //Chirstmas const chars = str.split('M'); console.log(chars); console.log(chars.length()); //erry Chirstmas //14 separator, limit split(); split(separator); split(separator, limit); se..
🙌문제설명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를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가 "pPoooyY"면 true를 return하고 "Pyy"라면 false를 return합니다. ☑️나의 풀이 개수는 대소문자 구별 없는데, 문제에는 구별을 해주어서, 소문자로 통일하는 메서드 toLowerCase() 사용 문자열 "p", "y" 부분 삭제되고 남은 문자열이 배열로 반환. length로 길이 구별. 길이가 다르면 false 반환, 그외에는 true 반환 fu..
🙌문제설명 정수 n을 입력받아 n의 약수를 모두 더한 값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나의 풀이 약수는 나누어서 0이되는 값 → for문으로 값을 하나씩 확인함 function solution(n) { var sum=0; for(let i=0; i
🙌문제설명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을 x로 나눈 나머지가 1이 되도록 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답이 항상 존재함은 증명될 수 있습니다.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n) { var x = 0; for(var x=0; x
🙌문제설명 정수를 담고 있는 배열 arr의 평균값을 return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보세요. ☑️나의 풀이 for문에 배열로 돌리면 풀리지만, 분명 메서드 함수가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function solution(arr) { return arr.reduce((sum, cur)=>sum+cur)/arr.length; } ☑️배운 점 reduce 메서드 배열의 내장함수(메서드) 중 하나로 누적값을 계산하는데 사용한다. 배열 형태를 순회하면서 단 하나에 값(합, 차, 곱 등)을 반환하는 일이 필요할때 리듀스를 사용한다. 배열의 누적 합 구할때 const arr = [1,2,3,4,5]; const initVal = 0; const average = arr.reduce((acc, cur)..
🙌문제설명 문자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수의 크기를 비교하려고 합니다. 두 수가 n과 m이라면 ">", "=" : n >= m "", "!" : n > m "" ? Number(n>=m) : Number(nm) : Number(n
🙌문제설명 양의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이 홀수라면 n 이하의 홀수인 모든 양의 정수의 합을 return 하고 n이 짝수라면 n 이하의 짝수인 모든 양의 정수의 제곱의 합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나의 풀이 🔥🤨 function solution(n) { let ans = 0; if(n%2!=0){ for(let i = n; i>0; i--){ if(i%2!=0) ans += i; } } else{ for(let j = n; j>0; j--){ if(j%2===0) ans += j**2; } } return ans; } ☑️배운 점 Math.pow(b,2) 메서드 === b**2 Math.pow(b,0.5) === b^(1/2) Math.pow() - Ja..
🙌문제설명 정수 number와 n, m이 주어집니다. number가 n의 배수이면서 m의 배수이면 1을 아니라면 0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number, n, m) { return number%n===0 && number%m===0 ? 1 : 0; } ❓다른 사람 풀이 '||' 연산자 → 두 값 중 하나라도 0이 아니면 true를 반환. n이나 m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true를 반환 '!' 연산자 → 반전 '+!' → 논리 값을 숫자로 변환 → true는 1로, false는 0으로 변환 function solution(number, n, m) { return +!(number % n || number % m); } ☑..